인간극장 울릉도에 새우가족이 산다.
이번주에 방영되는 인간극장 울릉도에 새우가족이 산다.를 소개해봅니다. 해도 모두 뜨지 않은 그 시각에 영광호는 을릉도 바다에서 나아간다고 하는데 그렇게 영광호에 있는 김동수 선장과 선원들이 바다에서 잡는 것은 독도 새우라고 합니다.
사실은 김동수 선장은 처음으로 독도 새우를 을릉도에서 잡았다고 하는데 몇 년 전 바다를 떠나기 위해서 배를 팔았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사위와 함께 다시 바다로 나선다고 합니다.
을릉도에 17살이라는 어린 나이로 들어오게 된 지금의 인간극장 울릉도에 새우가족이 산다. 주인공 선장 동수 씨는 부지런하게 뱃일도 하였고 좁은 단칸방에서 아버지와 함께 살았다고 하는데 그렇게 뱃일을 하면서 얻게 된 해산물을 아내와 딸이 팔아가면서 살림에 도움을 주었다고 하네요. 그리고 자식들을 모두 키워낸 후 쉴 수 있게 되었지만 대장에 이상이 생겨버렸다고 합니다.
그렇게 몸은 다 나아갔을 쯤 막내딸의 식당을 접어버렸고 힘들어하던 딸과 사위를 위해서 사위와 바다로 가기로 했다고 합니다.
아버지의 직업이 어부이다 보니 딸인 은정씨의 별명은 새우였고 남편 강덕씨는 요리사였다고 하는데 그렇게 장인과 사위가 함께 배를 탄 지도 1년이 되어가고 그렇게 사위는 바다에서 딸은 땅에서 어부 수업을 받는다고 합니다.
동수 씨는 항상 자식 곁에서만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아내와 동수씨는 더욱 세게 한다고 하는데 그렇게 강덕씨는 항상 비밀 일지를 쓰고 은정씨는 아들과 함께 배달을 하러 간다고 합니다.
경력 10년의 요리사, 어부가 된 지는 아직 1년도 안 됐다고 하는데 이미 고등학교 때 그물 꿰는 법을 배우고, 새우 미끼용 생선도 각 잡고 썰어내는 전직 요리사. 일식, 중식, 한식 못하는 요리가 없다고 하네요.
아들이 ‘양념갈비’란 시를 쓸 정도로 음식에 자신 있었지만, 장사가 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울릉도를 찾는 이들이 줄어든 것, 결국, 식당 문을 닫아야 했다. 막막했던 강덕 씨에게 뱃일을 제안한 건 장인어른과 장모님. 10년 동안 해온 요리를 포기하기 힘들었지만, 고민 끝에 어부가 되기로 했다고 합니다.
새우잡이 아버지 때문에 어렸을 적 별명도 ‘새우’였던 은정 씨는 아이를 데리고 새우 배달을 나가며, 꼼꼼히 장부도 정리한다고 하는데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란 은정 씨는 귀한 새우 썩히는 바람에 엄마에게 호되게 혼나기도 한다고 하네요.
'티비극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극장 아버지의 유월 (1) | 2016.06.05 |
---|---|
인간극장 라이언 방 필리핀을 웃겨라 [방현성씨편] (1) | 2016.05.29 |
인간극장 봄비네 집을 짓다 (2) | 2016.05.08 |
인간극장 낙타 아빠 상필 씨의 처가살이 (0) | 2016.05.01 |
인간극장 푸른 하늘 은하수 (0) | 2016.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