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극장 울릉도에 새우가족이 산다.

티비극장

이번주에 방영되는 인간극장 울릉도에 새우가족이 산다.를 소개해봅니다. 해도 모두 뜨지 않은 그 시각에 영광호는 을릉도 바다에서 나아간다고 하는데 그렇게 영광호에 있는 김동수 선장과 선원들이 바다에서 잡는 것은 독도 새우라고 합니다.


사실은 김동수 선장은 처음으로 독도 새우를 을릉도에서 잡았다고 하는데 몇 년 전 바다를 떠나기 위해서 배를 팔았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사위와 함께 다시 바다로 나선다고 합니다.



을릉도에 17살이라는 어린 나이로 들어오게 된 지금의 인간극장 울릉도에 새우가족이 산다. 주인공 선장 동수 씨는 부지런하게 뱃일도 하였고 좁은 단칸방에서 아버지와 함께 살았다고 하는데 그렇게 뱃일을 하면서 얻게 된 해산물을 아내와 딸이 팔아가면서 살림에 도움을 주었다고 하네요. 그리고 자식들을 모두 키워낸 후 쉴 수 있게 되었지만 대장에 이상이 생겨버렸다고 합니다.

안타깝지만 몸이 아팠던 탓에 그렇게 애지중지하던 배까지 팔고서 수술을 받은 후 아내가 항상 옆에서 병간호를 해주었던 덕에 병은 다 나아졌다고 하는데 계속 뱃일을 했던 탓에 새벽마다 바다로 나갔다고 합니다. 


그렇게 몸은 다 나아갔을 쯤 막내딸의 식당을 접어버렸고 힘들어하던 딸과 사위를 위해서 사위와 바다로 가기로 했다고 합니다.



아버지의 직업이 어부이다 보니 딸인 은정씨의 별명은 새우였고 남편 강덕씨는 요리사였다고 하는데 그렇게 장인과 사위가 함께 배를 탄 지도 1년이 되어가고 그렇게 사위는 바다에서 딸은 땅에서 어부 수업을 받는다고 합니다.


동수 씨는 항상 자식 곁에서만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아내와 동수씨는 더욱 세게 한다고 하는데 그렇게 강덕씨는 항상 비밀 일지를 쓰고 은정씨는 아들과 함께 배달을 하러 간다고 합니다.


경력 10년의 요리사, 어부가 된 지는 아직 1년도 안 됐다고 하는데 이미 고등학교 때 그물 꿰는 법을 배우고, 새우 미끼용 생선도 각 잡고 썰어내는 전직 요리사. 일식, 중식, 한식 못하는 요리가 없다고 하네요. 


아들이 ‘양념갈비’란 시를 쓸 정도로 음식에 자신 있었지만, 장사가 되지 않았다고 하네요. 울릉도를 찾는 이들이 줄어든 것, 결국, 식당 문을 닫아야 했다. 막막했던 강덕 씨에게 뱃일을 제안한 건 장인어른과 장모님. 10년 동안 해온 요리를 포기하기 힘들었지만, 고민 끝에 어부가 되기로 했다고 합니다.

남편이 바다에 나가면 은정(35) 씨가 뭍에서 어부의 아내가 해야 할 일을 배운다고 하는데 그녀 곁에는 평생을 어부의 아내로 살아온 호랑이 선생님, 엄마라고 하네요.



새우잡이 아버지 때문에 어렸을 적 별명도 ‘새우’였던 은정 씨는 아이를 데리고 새우 배달을 나가며, 꼼꼼히 장부도 정리한다고 하는데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란 은정 씨는 귀한 새우 썩히는 바람에 엄마에게 호되게 혼나기도 한다고 하네요.

한평생 자식을 위해 바다로 나갔던 부모님,하루빨리 쉬게 해드리고 싶은 게 자식 마음인지라  젊은 부부는 마음이 급해진다고 하는데 가족을 위해 다시 바다로 돌아간 어부가 물려주는 바다의 삶과 울릉도 바다, 그곳에서 희망을 건져 올리는 새우 가족이 살고 있는 이들을 인간극장 울릉도에 새우가족이 산다.에서 만나볼수있습니다.


,

검색

최근 댓글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